소니 베가스 강좌 17강 - 트랙 모션(Track Motion) 화면구성 및 기능
- 베가스
- 2017. 2. 17. 00:29
안녕하세요. 이번 시간은 베가스의 핵심 기능이죠. 바로 트랙 모션(Track Motion) 기능입니다. 저번 시간에 배워 본 Event Pan/Crop(이벤트 팬/크롭) 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기능입니다. 트랙 모션 강좌는 한 개의 강좌로 마무리하겠습니다. 이벤트 팬/크롭 강좌에서 다루었던 내용이 중복이 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입니다. 그럼 예제 샘플 한번 보시죠.
트랙 모션(Track Motion) 기능
트랙 모션의 화면구성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고 트랙 모션 기능을 적용시켜 보겠습니다.
화면구성
1-1. 두 장의 연결된 이미지와 바탕이 될 이미지를 준비합니다.
추가 방법은 이전 강좌에서 이미 많이 다루어 보았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.
1-2. 베가스 전체 화면 좌측 하단 트랙리스트에 보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있습니다. 클릭해 주세요.
1-3. 다음과 같은 Track Motion 창이 뜨게 됩니다.
Enable Rotation : 활성화시키면 해당 트랙을 회전 시킬 수 있음.
Enable Snapping : 격자(눈금)를 기준으로 동작(이동 및 회전 등) 하고자 할 때 사용.
Edit in Object Space : 활성화시키면 트랙 중심으로 작업이 가능함.
, Prevent Movement(x,y) : 트랙의 위치를 해당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.
Lock Aspect Ratio : 화면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 또는 확대 하고자 할 때 사용.
Size about Center : 활성화시 중심점을 기준으로 크기가 변경.
, Prevent Scaling(x,y) : 트랙의 크기를 해당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.
x : x좌표 위치
y : y좌표 위치
Orientation : 각도를 조절.(중앙을 기준으로 회전)
x : x각도
y : y각도
Rotation : 'Orientation'처럼 각도 조정이 가능하지만 중심점을 이동시켜서 회전이 가능합니다.(기준을 중앙이 아닌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서 회전)
X Offset : 회전하는 중점의 X좌표
Y Offset : 회전하는 중점의 Y좌표
Keyframe : 모션을 부드럽게 또는 정확하게 연결하기 위한 설정
Smoothness : 각이 있는 모션을 줄때 모션의 부드러운 정도를 설정함.
(0~100까지 조절 가능하며 100에 가까워질수록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함.)
Type : 모션 경로의 유형을 설정이 가능.
Linear - 선형 방식. 직선처럼 똑바로 움직임.
Hold - 지정된 키 프레임으로부터 동작이 정지.
Slow - 느리게 움직임.
Fast - 빠르게 움직임.
Smooth -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줌.
Sharp - 각이 있는 부분에서 빠른 움직임을 가지게 함.
Work Space : 사용을 안 하는 툴에 가까우며 참고로 기능은 확대, 축소, 이동 등을 담당.
Snap Settings
Grind Spacing : 격자(눈금)의 간격
Rotation : 트랙을 회전했을 때 회전 간격을 지정할 수 있음.
2D Shadow : 그림자를 만들 때 사용
2D Grow : 테두리라고 말하면 잘못된 표현일 수도 있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트랙에 테두리 효과를 줄때 사용.
트랙 모션(Track Motion) 기능 적용
2-1. 원하는 위치에 헤더를 위치 시킨 후 키 프레임(Keyframe)을 추가시켜 주세요.
2-2. 트랙모션 창에서 원하는 프리뷰 창을 참고하여 크기나 위치를 조정해 보세요.
(아래 GIF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.)
2-3. 추가적으로 2D Shadow, 2D Grow 효과를 주도록 하겠습니다.
2D Shadow 설정 창에서 원하는 값을 입력해주세요.
2D Grow효과는 테두리라고 칭하기보다는 후광효과가 더 나아 보이네요.
2-4 마무리 단계 입니다. 과연 어떠한 결과물이 나왔을까요? 한번 같이 보시죠.
▲ 위 GIF애니메이션 이미지에 적용된 효과는 저희가 오늘 배워 본 기능을 포함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.
효과가 적용되면서 멈칫하는 장면은 Keyframe Smoothness - Hold 기능을 적용시킨 부분입니다.
궁금증이 하나 생길 수 있습니다. 이벤트 팬/크롭과 트랙 모션 차이점이 뭘까?
이벤트 팬/크롭의 경우는 각각 이미지에 효과를 주는 것이고, 트랙 모션은 한 개의 전체 트랙에 효과를 주는 것입니다.
영상으로 한번에 정리하기
지금까지 트랙 모션(Track Motion)의 화면구성 및 기능 적용까지 알아보았습니다. 16강 이벤트 팬/크롭 기능과 함께 베가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이니 마스터하셔서 좋은 영상 만들어 보세요.
다음시간에는 3D 트랙 모션(Track Motion) 기능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이 글을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