풍경사진에서 초점은 어디에 두어야 할까?

풍경사진을 찍을 때 초점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.

풍경사진을 보게 되면 분명 흔들리지도 않았는데 흐리멍텅한 결과물을 얻었던 경험이 있을 것 같습니다.

이는 흔들렸다고 할수도 있지만 초점을 잘못 잡아서 이런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인물사진의 경우 눈에 초점을 맞추면 상당히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가 있는 반면,

풍경 사진의 경우는 생각보다 그 기준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부분입니다.

어디에 초점을 두면 전체가 선명하게 나올까?

풍경을 좋아하는 유저라면 한번쯤 해보았을 것 같습니다.

그럼 초점에 관한 공식이 있을까요? 있습니다.

그럼 초점을 잡는 공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화각에 따른 초점을 어디에 두어야 앞에서부터 무한대까지 선명하게 초점이 맞을까요?

그 초점이 바로 과초점거리(hyperfocal distance)입니다.

과초점거리란 어떤 거리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에 그 과초점 거리의 1/2에서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라고 합니다.

즉, 심도를 가장 깊게 이끌어 내는 초점거리라 생각하시면 됩니다.



위 그림에서 과초점거리가 T라고 한다면 T를 기준으로 전방 1/2인 A지점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게 됩니다.

새의 경우 흐릿하게 보일 것이고 꽃 부터는 선명하게 보이게 될 것 입니다.

그렇다면 과초점거리를 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???

아래 공식이 바로 조리개에 따른 깊은 심도를 얻어 내기 위한 과초점공식 입니다.




 는  결과값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생략.

※ 허용착란원의 크기는 프레임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.

Image Format

Frame size

허용 착란원

Small Format

Four Thirds System

13.5 mm × 18 mm

0.015 mm

APS-C

15.0 mm × 22.5 mm

0.018 mm

APS-C Canon

14.8 mm × 22.2 mm

0.019 mm

APS-C Nikon/Pentax/Sony

15.7 mm × 23.6 mm

0.020 mm

APS-H Canon

19.0 mm × 28.7 mm

0.023 mm

35 mm

24 mm × 36 mm

0.029 mm

Medium Format

645 (6×4.5)

56 mm × 42 mm

0.047 mm

6×6

56 mm × 56 mm

0.053 mm

6×7

56 mm × 69 mm

0.059 mm

6×9

56 mm × 84 mm

0.067 mm

6×12

56 mm × 112 mm

0.083 mm

6×17

56 mm × 168 mm

0.12 mm

Large Format

4×5

102 mm × 127 mm

0.11 mm

5×7

127 mm × 178 mm

0.15 mm

8×10

203 mm × 254 mm

0.22 mm




  예를 들어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풍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초점거리 16mm에 조리개 F7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(허용착란원 35mm.)


 

약 1261mm가 나오게 되는데 단위를 m로 환산하면 약 1.2m가 됩니다.

거리계 창에서 1.2m(16mm / f7 기준으로 가장 깊은 심도를 만들어 주는 초점)근처에 초점을 두게 되면 가장 깊은 심도를 얻을 수 있다는 것 입니다.

즉, 피사체의 심도는 1.2m의 반(1/2)인 약 0.6m부터 무한대까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
위 그림에 대입을 시켜 본다면 0.6m부터 꽃, 나무, 해와 구름 모두(노란색 영역) 선명하게 담을 수 있습니다.


어려워 보일수도 있지만 수치적으로 한번 계산해 보았습니다.

막상 출사지에서 이런 데이터를 산출한다는것은 힘든 부분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.

그래서 제가 사용하는 팁을 하나 알려드리자면 렌즈별로 과초점 거리는 다르지만,

팬포커싱으로 촬영하는 풍경사진은 약 1/3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촬영하면 깊은 심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

자동으로 과초점거리를 계산해주는 사이트(클릭!)
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